본문 바로가기
메타버스기반게임콘텐츠기획/스터디(언리얼 프로젝트)

220109 언리얼 설치부터 익숙해지기 + 크래쉬 해결

by Queenut 2022. 1. 9.

 * 언리얼 엔진 설치하기

 

언리얼 설치는 언리얼엔진 공식 사이트에서 가능하다.

https://www.unrealengine.com/ko/

 

언리얼 엔진 | 가장 강력한 리얼타임 3D 제작 플랫폼

언리얼 엔진은 세계에서 가장 개방되고 진보된 리얼타임 3D 제작 플랫폼으로서 포토리얼한 비주얼과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www.unrealengine.com

 

링크로 들어가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무료로 다운받으라는 버튼을 볼 수 있다.

무료로 시작하기 클릭.

 

스크롤을 내리면 해당 라이선스의 내용을 볼 수 있다.

퍼블리싱 라이선스: 규격화된 인터렉티브 제품의 상용화를 목표하는 게임 개발자와 그 외의 크리에이터드을 위한 라이선스. 향후 사용 게임을 개발할 가능성을 열어두신다면 학습 또는 개인 프로젝트에도 적합하다.

 

크리에이터 라이선스: 내부 및 무료 프로젝트, 커스텀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단방향 콘텐츠를 개발중인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라이선스. 일반적으로 건축, 자동차, 영화, TV등과 같은 게임 외 산업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용한다. 또한 학생, 교육자 및 개인 학습에도 적합하다.

 

 

 

누르면 에픽게임즈의 런처를 설치한다. 런처의 설치까지는 금방되므로 패스.

에픽게임즈의 런처 실행.

왼쪽에 에픽게임즈의 스토어, 라이브러리, 언리얼 엔진 버튼이 있다.

스토어: 에픽게임즈에서 판매하는 게임들을 볼 수 있다. 메인화면에 무료게임이 가끔 뜨므로 자주 확인해보자.

라이브러리: 엔진을 포함해, 내가 구매한 게임들을 볼 수 있다.

언리얼 엔진: 엔진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E4 : 현재 상용화된 버전(4)의 정보, 소식을 알 수 있는 메인페이지.

 -학습 : 엔진 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문서 + 영상 등 학습 자료가 있다. 처음 시도해보는 사람들이 참고하면 좋다.

 -마켓플레이스 : 유니티의 에셋스토어와 같은, 언리얼 엔진만의 리소스 스토어이다. 

언리얼엔진 마켓플레이스 페이지

마켓플레이스 내에 무료 콘텐츠만 볼 수 있는 버튼이 있으므로 수시로 확인해보자. 특히, 이 달의 무료 콘텐츠라고 뜨는 페이지는 좋은 에셋이 무료로 풀리는 경우가 있다. 뜰 때마다 다운받자.

 -라이브러리 : 내가 갖고있는 엔진 버전, 내가 만들어둔 프로젝트, 내가 구매한 에셋 보관함을 볼 수 있다.

 

만약 언리얼 엔진 설치를 처음 시도했다면 엔진 버전이 비어있을 것이다.

만약 아무 것도 없다면 '엔진 버전'이라 쓰인 글씨 옆의 노란 플러스 버튼을 누르고 추가하면 되고, 뭔가 있고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설치하자. 지독하게 오래 걸리므로 주의하자...

런처는 쉬웠지...? 지옥은 얘란다..

 

현재 가장 최신 버전은 4.27.2 가 나왔지만 커뮤니티에서 에러가 여럿 발견되었기 때문에 26버전으로 다운받았다.

 

 

 

 * 언리얼 엔진 익숙해지기

유니티와 크게 다른 점은 없다. 물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많이 다르겠지만, 일단 초기 UI는 거의 비슷하다.

그래도 유니티의 경험만으로 언리얼을 다루기는 어려울 것 같아 다양한 자료를 참고했다.

 

 

언리얼 엔진 공식 카페

https://cafe.naver.com/unrealenginekr/30535

 

언리얼 엔진 시작하기

■ 언리얼 엔진 소개에픽게임즈가 개발한 언리얼 엔진은 플랫폼의 경계 없이 높은 퀄리티의 게임, 건축, 영화, 시뮬레이션, 자동차, VR 등 다양한 분야의 3D 인터랙티브 콘텐...

cafe.naver.com

일단 언리얼을 해본다 싶으면 가장 먼저 찾아보는 게 좋을 사이트. 처음 시작하는 이들을 위한 공지가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꼭 찾아가자.

특히 엔진을 다루다 에러가 나면 물어볼 사람들이 많이 계시므로 꼭 참고!

 

 

언리얼 엔진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dDw_hJ9nmak&list=PLkHDai4yit5Xm9912XjC6c4TCuI3IX-Mh&index=6 

카페의 공지를 타고 들어간 유튜브 강좌.

문서로 보는 것이 어려운 이들을 위한 동영상 강좌긴 하지만 제공하는 리소스를 찾기가 어려웠다... 다만 다양한 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한 번쯤 들어보는 것이 좋을 듯 싶다.

 

 

 

 

 * 크래쉬 발생

언리얼엔진에 자꾸 크래쉬가 발생했다.

Fatal error: [File:D:/Build/++UE4/Sync/Engine/Source/Runtime/Windows/D3D11RHI/Private/D3D11Util.cpp] [Line: 198] Unreal Engine is exiting due to D3D device being lost. (Error: 0x0 - 'S_OK')

UE4Editor_D3D11RHI
UE4Editor_D3D11RHI
UE4Editor_D3D11RHI
UE4Editor_D3D11RHI
UE4Editor_SlateRHIRenderer
UE4Editor_SlateCore
UE4Editor_Slate
UE4Editor_Slate
UE4Editor_UnrealEd
UE4Editor_PackagesDialog
UE4Editor_UnrealEd
UE4Editor_UnrealEd
UE4Editor_UnrealEd
UE4Editor_MainFrame
UE4Editor_MainFrame
UE4Editor_SlateCore
UE4Editor_Slate
UE4Editor_ApplicationCore
UE4Editor_ApplicationCore
UE4Editor_ApplicationCore
UE4Editor_ApplicationCore
user32
user32
user32
ntdll
win32u
user32
user32
UE4Editor_ApplicationCore
UE4Editor_Engine
UE4Editor
UE4Editor
UE4Editor
UE4Editor
UE4Editor
kernel32
ntdll

1. 블루프린트와 관련된 설정을 만지면 강제 종료

2. 연산이 크게 들어가는 작업(컴퓨터 팬 돌아가는 소리가 날 정도)만 하면 강제 종료

3. 레벨을 열면 강제 종료

 

사실 이 밖에 너무 다양한 이유로 픽 꺼지는 바람에 크게 걱정했다.

'혹시 내 컴퓨터의 그래픽카드가 구려서 그런 것일까..? 하지만 좋은 그래픽카드 사는 것은 너무 부담되는데...'

 

최대한 무언가를 새로 구매하지 않는 방법을 찾아보기위해 카페에 나와 같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찾았다.

- 강제종료

- D3D

- 크래쉬

- 에디터 에러 등등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찾아 해결방법을 적용해보았더니 강제 종료가 사라졌다!

 

 

 * 크래쉬 해결 방법

1. 전원을 연결하고 절전 옵션을 끄자.

노트북은 때로 전원이 다른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잡아먹는 엔진이 충돌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끄는 편이 좋다고 한다.

설정에 들어가 '전원', '절전' 이란 단어가 들어가는 모든 옵션들을 없애버렸다.

그리고 다시 엔진을 실행했지만 여전히 강제 종료가 발생했다...

 

 

2.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그레이드 해보자.

내가 가진 그래픽카드는 NVIDIA GEFORCE GTX 1650 Ti.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어서 무서웠는데 생각보다 쉬웠다.

https://www.nvidia.co.kr/Download/index.aspx?lang=kr 

 

NVIDIA 드라이버 다운로드

 

www.nvidia.co.kr

잘 모르겠다면 윈도우의 검색창 → dxdiag → 렌더링 에 들어가면 갖고 있는 그래픽 카드의 세부 정보를 볼 수 있다.

자신이 해당하는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검색하면 최신 버전이 뜨는데 본인이 갖고 있는 버전이 낮다면 설치 의향을 물어본다.

 

가장 최근 버전이 하나 있어서 다운받으니 강제 종료가 사라졌다!

감격!

 

그래도 혹시 모르므로 다른 방법도 적어두겠다.

 

3. 프로젝트 세팅에서 '버추얼 텍스처 지원 활성화' 를 true로 놓고 재시작.

4. 프로젝트의 config폴더 → defaultengine.ini 파일 r.ReflectionCaptureResolution가 2048로 되어있는데 512로 바꾸기

4-1. r.ReflectionCaptureResolution 2048이 없는 경우, [/Script/Engine.RendererSettings]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r.ReflectionCaptureResolution=512 쓰기.

4-2. 렌더세팅 항목이 없다면 [/Script/Engine.RendererSettings] r.ReflectionCaptureResolution=512 라고 쓰기

5. 사운드 드라이버 재설치

6. NVIDIA GEFORCE EXPERIENCE GAMES BATTERY BOOST DISABLE IT.

 

 

 

(20220128)

저 어쩌구저쩌구 'S_OK'라는 에러가 계속 생겼다.

다만 이전처럼 너무 자주, 심각하게 발생하지 않아서 견뎠는데 좀 필요성이 느껴져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봤다.

6. NVIDIA GEFORCE EXPERIENCE -> GAMES -> BATTERY BOOST -> DISABLE IT.

NVDIA Geforce Experience는 nvdia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최적화용 프로그램인것 같다.

여기서 설정(톱니바퀴모양)에 들어가 일반BATTERY BOOST비활성화 시켰다.

 

더 해결됐으면 좋겠다...